대선뉴스

> 현대그룹 이어 대선건설 주채권은행 노골적 불신

  • 작성자

  • 대선건설

  • 날짜

  • 2010-07-08

  • 13:34:34

  • 조회수

  • 2,712




채권은행단이 실시한 신용위험평가 결과에 대해 기업들이 잇따라 반발하고 있다.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는 획일적인 채권단의 평가로 부도 위험이 적은 기업이 퇴출 명단에 오른 반면에 상당수 부실기업들은 신용위험평가조차 받지 않았다는 의견이다.

기업들은 “은행의 일방적인 평가 기준으로 정상적인 기업까지 피해를 주고 있다”며 “채권단의 평가를 인정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채권단들은 “정해진 기준에 의해 실시 된 것”이라며 “평가의 번복은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

양측의 의견 차이가 좁혀질 기미를 보이지 않는 가운데 최근 가장 논란이 된 대선건설-하나은행과 연일 공방을 펼치는 현대그룹-외환은행의 상반된 주장들을 살펴봤다.


◆ 대선건설 “우린 부실없는 회사” VS 하나은행 “규정대로 했을 뿐”


대선건설은 지난달 신용위험도 평가에서 퇴출대상인 D등급을 받았다. 900억원의 여신과 영업이익에 비해 손실이 크기 때문이라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대선건설은 채권단의 평가를 납득할 수 없다는 분위기다. 대선건설에 따르면 회사는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도 없고, 지급 보증도 없다. 또한 대출금 연체도 없어 유동성 문제 등 부도의 위험도 없다.

그러나 대선건설의 주채권은행인 하나은행은 다른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대선건설은 계속해서 빚이 늘어나는 추세로 지난 2008년에는 300억원, 2009년에는 600억원, 2010년에는 빚이 무려 900억원에 이르렀다”며 “정상적인 방법으로 더 이상 영업활동과 이자지급이 어렵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대선건설은 “장부상 빚이 900억원에 이르지만 대부분 대주주의 예금을 담보로 낸 빚이며 언제든지 갚을 수 있는 부채”라며 채권단의 결정에 불만을 표했다.

주채권 은행 관계자는 “평가기준에 따르면 예금 담보가 설정돼 상환능력이 있는지 여부는 평가항목에 없다”며 “기업의 재무제표와 기업 구조조정 촉진법에 의해 평가했다”고 말했다. 업계는 이들의 상반된 주장에 따라 ‘양측의 의견차는 쉽게 좁혀지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 계속된 공방, 현대 “주채권은행 바꾸겠다” VS 외환은행 “어림없는 소리”


현재 재무구조 개선약정 체결을 둘러싸고 현대그룹과 주채권은행인 외환은행 간 갈등도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현대그룹은 “외환은행은 주채권은행으로써 현대그룹에 대한 지원에 소극적이었다”며 “재무구조평가 과정에서도 해운업계의 특징과 현대상선의 호전되는 실적을 완전히 무시한 채 약정 채결을 강요했다”고 말했다. 이어 “대출금을 모두 갚고 주채권은행을 변경해 다시 평가받겠다”는 의견을 고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외환은행은 현대그룹의 계속된 거부로 약정체결이 무산되자 채권단과의 회의를 통해 체결 시한을 7일까지 연장했다. 지난달 15일과 25일에 이어 세 번째 연장이다.

채권단은 “이번에도 약정을 맺지 않으면 신규대출 금지와 만기연장 거부 등의 제재조치를 취하겠다”고 강하게 나오고 있지만 현대그룹의 입장에는 큰 변화를 주지 못할 전망이다.


◆ 기업-채권단의 계속된 마찰, 획일적 평가 기준 탓?

이처럼 기업과 채권단의 마찰이 계속 일어나자 전문가들은 “기업과 은행의 갈등이 빚어진 이유는 과거의 지표로 미래를 평가하는 신용평가의 특성 때문”이라며 “평가 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한 기업구조조정 전문가도 "기계적이고 획일적인 평가 기준보다는 미래가치를 반영하는 평가방식이 유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대선건설 사태에 대해 금융당국의 압박도 한 몫 했다고 지적하고 있다. 금융 관계자는 "은행이 등급을 분류했는데도 금융당국이 등급조절을 하라고 압박하기도 했다"며 “추후 문제 발생 시 책임을 지라는 각서도 요구 했다”고 밝혔다.


2010-07-07

[스포츠서울닷컴|황준성기자]